7년차 직장인 A씨는 최근 원형탈모로 병원 처방을 받고 있다. 8년 전 원형탈모가 갑작스럽게 실시됐는데,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만성적으로 재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A씨는 '탈모를 한 번 겪어보니 식습관부터 관리 제품까지 케어에 신경이 쓰인다'고 이야기 했다.
20~30대가 국내 탈모시장 `큰 손`으로 떠올랐다. 과거 유전적 원인보다 임신과 출산, 염색, 스트레스 등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 탈모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탈모 방지 샴푸부터 영양제, 치료기까지 관련 시장도 커지는 추세다.
2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말에 따르면 2015년 국내 탈모 환자 수는 23만3628명으로 2011년(70만8534명)대비 13% 올랐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3.2%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20대(20.6%)다. 같은 기간 탈모 치료에 쓰인 총 진료비도 191억원에서 304억원으로 53% 불어났다.
대한머리카락학회는 국내 탈모 관련 의료·제품 시장 덩치가 약 6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은 탈모 케어 샴푸다. LG생활건강이 2014년 출시한 탈모 관리 브랜드 `닥터***`의 누적 판매량은 10004000개를 돌파했다. 이는 1분에 약 5.6개꼴로 팔린 셈이다. 아모레***의 두피 스킨케어 브랜드 `라보***`의 올해 1분기 매출도 작년 4분기대비 41% 상승했다. 아모레***은 10년간의 연구 끝에 녹차에서 추출한 유산균 발효용해물이 두피 장벽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탈모 관리 제품에 적용했다.
가전업계도 두피 관리 제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얼굴 피부와 목주름뿐 아니라 탈모 증상 완화를 위해 소비를 아끼지 않는 성향에 이목한 것이다. LG** 는 탈모 치료용 의료기기를 발매했다. 헬멧 모양의 이 아이템의 온라인상 가격은 900만원 안팎이다.
국내 탈모인구가 늘면서 이를 악용한 과장 마케팅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구매자원이 핀페시아 직구 발표한 `탈모 관련 제품 및 서비스 문제점 개선방안` 보고서의 말을 빌리면 탈모 방지 샴푸는 약사법상 `탈모 방지`와 `모발의 굵기 증가` 이외에 다른 광고 문구를 쓸 수 없다.
허나 일부 중소업체들이 탈모 방지 샴푸를 판매하면서 `탈모 치료`나 `발모 효과` 등의 문구를 내걸어 구매자들의 혼란이 가중된다는 지적이다. 일반 두피케어업소에서 처치를 권유하면서 `일정기간 사용 후 불만족시 100% 환불 보장` 등을 광고해 분쟁을 겪는 경우도 응시됐다.
한국소비자원은 '탈모 관련 상품과 서비스 시장이 확대됨에 맞게 소비자피해도 꾸준히 응시되고 있다'며 '의료기관이 아닌 일반 두피케어업소에서 사용 전후 사진 비교 등 법규 위반의 소지가 있는 광고표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혀졌습니다.